맨위로가기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5개 도시의 경기장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대회에는 18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를 거쳐 대한민국이 사우디아라비아를 결승에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쿠웨이트는 동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에 관한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에 관한 -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는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이 금메달, 아랍에미리트가 은메달,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 1986년 아시안 게임 - 잠실학생체육관
    서울 SK 나이츠의 홈 구장인 잠실학생체육관은 과거 아시안 게임 복싱 경기 개최지였으며, 현재는 e스포츠 대회, 프로레슬링 경기, 방송 촬영 등 다용도로 활용되고, 특히 e스포츠 팬들과 프로레슬링 부활에 중요한 장소이다.
  • 1986년 아시안 게임 - 1986년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
    1986년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는 1986년 9월 14일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청사에서 발생했으며, 팔레스타인 출신 아부 니달이 북한의 사주를 받아 저지른 테러로 밝혀졌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는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이 금메달, 아랍에미리트가 은메달,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기본 정보
종목축구
대회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픽토그램
축구 픽토그램
아시안 게임 로고
아시안 게임 로고
개최국대한민국
개최지서울
기간1986년 9월 20일 – 10월 5일
참가국18
이전 대회1982 뉴델리
다음 대회1990 베이징
경기 결과
금메달대한민국 (3번째 우승)
은메달사우디아라비아
동메달쿠웨이트

2. 대회 진행 방식

27개 참가국을 4개 조(A조, B조, C조, D조)로 나누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다. 각 조 상위 2개 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8강 토너먼트는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으며, 승리 팀은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준결승전 승리 팀은 결승전에 진출하고, 패배 팀은 3·4위전에 진출했다.

3. 경기장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
올림픽주경기장구덕운동장
수용 인원: 69,950수용 인원: 30,000
올림픽주경기장
구덕운동장
대구광역시대전광역시광주광역시
대구스타디움한밭종합운동장광주월드컵경기장
수용 인원: 23,278수용 인원: 30,000수용 인원: 30,000
대구스타디움
한밭종합운동장
광주월드컵경기장



경기는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5개 도시의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4. 조별 리그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조별 리그에서는 각 조 상위 2팀이 8강에 진출하였다.

A조에서는 아랍에미리트이라크가, B조에서는 대한민국중국이 8강에 진출하였다.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인도를 3:0[1], 중국을 4:2로 꺾고, 바레인과 0:0으로 비기며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

C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인도네시아가, D조에서는 쿠웨이트이란이 8강에 진출하였다. 일본이란쿠웨이트에 밀려 조 3위로 탈락했다.

4. 1. A조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ar와 العراقar가 8강에 진출하였다.

경기수승점
아랍에미리트431052+37
이라크4301124+86
오만412135-24
태국411284+43
파키스탄4004215-130





모든 경기는 대구시민운동장에서 열렸다.

4. 2. B조

경기수승점
대한민국321072+55
중국320196+34
바레인311145-13
인도300318-70


  • ---

1986년 9월 20일, 대한민국구덕운동장에서 열린 인도와의 경기에서 노수진, 최순호, 박창선의 득점에 힘입어 3:0으로 승리했다.[1] 같은 날 중국바레인과의 경기에서 5:1 대승을 거두었다.

9월 22일에는 중국이 인도를 2:1로 꺾었다. 9월 24일에는 대한민국과 바레인이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바레인과의 무승부로 인해 아쉽게 전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9월 26일, 바레인은 인도를 3:0으로 꺾었다. 9월 28일 대한민국은 중국과의 경기에서 박창선의 페널티킥 득점과 김주성, 이태호, 조민국의 연속골로 4:2 승리를 거두었다. 중국은 리후이가 페널티킥으로만 2골을 넣으며 추격했지만, 결국 대한민국이 승리했다.

최종 결과, 대한민국과 중국이 8강에 진출하였다.

4. 3. C조

السعوديةar와 인도네시아id가 8강에 진출하였다.

경기수승점
사우디아라비아330061+56
인도네시아311123-13
카타르302123-12
말레이시아301225-31




4. 4. D조

경기수승점
쿠웨이트4400120+128
이란4301121+116
일본420294+54
방글라데시4103112-112
네팔4004017-170



결과적으로 D조에서는 쿠웨이트이란이 8강에 진출하였다. 일본이란쿠웨이트에 밀려 조 3위로 탈락했다.

5. 결선 토너먼트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10월 1일에 열린 8강전에서는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가 각각 승리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이란을 승부차기 끝에 꺾었고, 사우디아라비아 역시 이라크를 승부차기로 이겼다. 인도네시아와 쿠웨이트도 각각 아랍에미리트중국을 승부차기에서 이기고 준결승에 올랐다.

10월 3일에 열린 준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이 인도네시아를 4-0으로 크게 이겼고, 사우디아라비아는 쿠웨이트와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했다. 10월 4일에는 쿠웨이트가 인도네시아를 5-0으로 꺾고 3·4위전에서 승리하여 동메달을 차지했다.

10월 5일,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은 사우디아라비아를 2-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5. 1. 8강전

(PSO 3 - 4)인도네시아승부차기10월 1일부산대한민국1 - 1
(PSO 5 - 4)이란승부차기10월 1일서울사우디아라비아1 - 1
(PSO 9 - 8)이라크승부차기10월 1일부산쿠웨이트1 - 1
(PSO 5 - 4)중국승부차기

5. 2. 준결승전

1986년 10월 3일, 대한민국은 인도네시아를 4: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조광래, 최순호, 이태호 등이 득점하며 대한민국의 공격력을 과시했다.[1] 같은 날,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와 2:2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승리했다.[1]

경기일팀 1결과팀 2
1986년 10월 3일4 - 0
1986년 10월 3일2 (5) – 2 (4) (승부차기)



5. 3. 3·4위전

쿠웨이트인도네시아를 5:0으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1]

5. 4. 결승전

1986년 10월 5일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사우디아라비아를 2-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조광래가 전반 7분, 변병주가 후반 84분에 득점하며 대한민국의 우승을 이끌었다.[1]

} || 2 - 0 || 사우디아라비아|ar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서울 || 80,000명 || 아흐메드 자심 모하메드|바레인ar

|}

6. 우승국

대한민국1970년, 1978년에 이어 통산 세 번째 아시안 게임 축구 금메달을 획득했다.

7. 메달리스트

날짜시간팀 1결과팀 2경기장관중 수주심
1986년 10월 5일16:00{{lang|ko|대한민국|}
금메달은메달동메달


8. 최종 순위

순위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대한민국 (KOR)6420143+1110
사우디아라비아 (KSA)632196+38
쿠웨이트 (KUW)7520203+1712
4인도네시아 (INA)6123414-104
5아랍에미리트 (UAE)532074+38
6이란 (IRN)5311132+117
7이라크 (IRQ)5311135+87
8중국 (CHN)4211107+35
9일본 (JPN)420294+54
10오만 (OMA)412135-24
11태국 (THA)411284+43
12바레인 (BHR)311145-13
13카타르 (QAT)302123-12
14방글라데시 (BAN)4103112-112
15말레이시아 (MAS)301225-31
16인도 (IND)300318-70
17파키스탄 (PAK)4004215-130
18네팔 (NEP)4004017-1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